반응형
작업 환경
-메인 OS : Windows 8.1K(Intel Core i5-4590)
-작업 OS : Ubuntu 14.04 64bit(VirtualBox)
-장 비 명 : H-Smart4412
작업 개요
-TeraTerm을 이용하려다보니 virtualBox와 Windows간의 파일 이동, 권한 설정 등을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불편하여 리눅스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
1. minicom 설치 및 설정
VirtualBox USB연결 설정 후 dmesg | grep tty
tty번호 확인(일반적으로 ttyUSB0)
sudo apt-get install minicom
sudo minicom -s
serial port setup
A -> /dev/ttyUSB
F -> NO 로 변경
Save setup as dfl
Exit
Ctrl+A, x 선택으로 종료
2. minicom 사용법
sudo minicom -w
장비 부팅 후 Ctrl+A, s
Zmode 선택 후 폴더 및 파일 선택(스페이스x2 폴더 이동, 스페이스+엔터 파일 선택 후 전송)
3. minicom porting
sudo apt-get install android-tools-fastboot
장치에서 fastboot 후 VirtualBox에 USB 연결결
sudo fastboot flash kernel zImage
※ 현재 3번의 경우 sending 'kernel' 에서 멈춰버린다.. 통신은 잘 되고 있는데 왜 멈출까..
반응형
'Embedded > Kernel Port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ernel Porting-11] H-Smart4412 응용 실습2 (0) | 2016.12.26 |
---|---|
[Kernel Porting-10] H-Smart4412 응용 실습1 (0) | 2016.12.26 |
[Kernel Porting-9] H-Smart4412 Dot Matrix 작동하기 (0) | 2016.12.26 |
[Kernel Porting-8] H-Smart4412 LCD 작동하기 (0) | 2016.12.26 |
[Kernel Porting-7] H-Smart4412 Dip Switch 작동하기 (0) | 2016.12.26 |